로크, 루소: 인간오성론, 통치론, 사회계약론

2022. 4. 2. 12:28카테고리 없음

728x90

​2분기의 시작, 4월 2일 토요에 

로크의 인간오성론 understanding부터 시작하게 된다

잠깐 먼저는 루소의 성장과정, 곡절이 깊은 사회학을 보게 되고

 

근래, 불교의 연기론을 조금 알게 된바

촉-수-상-식

무명-행-식-명색-6입-촉-수-애-취-유-생-노사

 

기원전 6백년전 부처에 의해 발견된 위대한 법칙

그 연기설

그래서 좀 알게된, 불교의 심층적 심리사회학

극단으로는 유식론까지 가기도 하고

한편은 극단적 보시parameter까지도 가겠지만

 

1600년대 사상을 주도한 로크의 통치론, 이에 대한 미시적 시각인 인간오성론

1700년대 후반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상비판까지

이성이 나오기 전에 내재적 오성, 비슷한 개념이 있었고

그 단어의 기원이 궁금했는데, 

보니 오히려 영국에서 이런 촉-수-상, 단게적 인식의 형성작용이

궁구되었던 모양이다 싶다

expound the riddle, playing the harp, psalm 49

생득적 순수이성이나 실천이성은 없다는 주장

이게 아마도 그 유명한, 여러번 들었던 tablo rosa?  이런 내용 아닌가 싶다

1+2=3 이런 숫자를 통한 자명한 진리도, 어른이 될때까지 아이들은 금방 이해하지는 못한다는 내용이다

 

영국이 단순히 현실적이기만 나라는 아니구나 싶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