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 10. 20:51ㆍ책 읽기 영화보기 등
금번에 모친상을 계기로 보게되었고
사실 키에르의 글이 읽기 쉬운건 아닌것 같지만, 독일계 쪽이 대걔 그런가?
일단 71%까지는 읽었고
얼추 불교의 사성제 강론과 비교하면서
기독교는 아이러니, 파라독스를 끌어 안고 믿음의 점프를 하는
일정 부분에서는 맡김delegation 통해서 도약하는 것인 반면
사성제, 팔정도의 불교는 웬만하면 다 스스로, 인간 차원에서 이루려고 하고
그것도 완벽하게 하려고 하는 입장인 것 같다고
완벽을 추구한다는 뜻은, 고집멸도에서
집착을 뚫고 선정을 경험했다면 그 자체 감사하고
다시 일상생활을 통해서 비본래적 자아의 모습, 일반적 중생으로 돌아오더라도, 일단 선정을 경험했고, 또 선정으로 나아갈 것으로ㅓ 기대한다면
그것으로 만족할 수 있을텐데
그렇지 않고, 완전하게 멸滅까지 이루어야, 그렇게까지 길을 닦아야 만족한다는 취지에서 불교의 완벽지향성을 느낀다는 것이다
반면, 기독교는 키에르도 당시의 덴마크 교회의 행태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던 것, 기실 니체도 마찬가지이지만 기독교 자체를 부정하는게 아니고
그 틀을 중생적으로 해석하고 실천하는 문화집행자, 그 그룹에 대한 비판, 비난을 한 것처럼 꽤나 완벽을 지향하긴 하되
대체로는 그런 중생르 끓어 안는 편이다
그 점에서 기독교는 아이러니와 파라독스를 끌어 안고 간다고 느끼는 것이다
이하, 일단 71% 읽은 상황에서 8월 시작하면서 키에를케고르의 Fear and Trembling 요약본을 사이트 통해서 올린다
Johannes contrasts the easy intellectualizing of the Hegelians with the dedication required by true doubters and believers. The ancient skeptics, for instance, maintained that since nothing is certain, they should suspend judgment about everything. Learning to suspend judgment took a lifetime of dedicated asceticism, however, since we are naturally accustomed to passing judgments on the things we sense and think about. Similarly, the faith required of Abraham was not a simple matter to be had and then moved beyond. Abraham's faith had to be so strong that he would unquestioningly sacrifice his only son to God.
죽음에 대해서도 젊은이들은 머리로는 인정하지만, 실제 마음으로까지 알기에는 거리가 멀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people and the Hegelians can be understood as the distinction between knowing with one's mind and knowing with one's heart. We might draw the analogy to our consciousness of death. We all know that we will die, but young people tend only to know this with our minds: we know it as a fact, and we would never deny it. However, only old people, or those who have had a near-death experience, might know with their heart that they are going to die. That is, they are conscious of their mortality in a way that informs their daily actions and their attitude toward life.
당시 풍미했던 헤겔의 이성 우선의 사고방식에 대한 비판적 시각
Johannes sees this contrast as one between reflection and passion. The Hegelians may think they have reasoned through faith and doubt in the same way that think their system allows them to reason through everything else. However, faith and doubt, unlike science or logic, are meaningless and void without passion. We cannot allow Descartes to do our doubting for us: in order to appreciate what it means to doubt, we need to go through the process ourselves. Anything less will lead to cheap theorizing that doesn't understand the objects of its theories. By rationalizing doubt and faith, by rendering them as parts of a system built fully by reflection, Hegelians have destroyed doubt and faith, have rendered them impotent. Kierkegaard is a staunch opponent of the Danish church of his day, feeling that faith has been reduced to an aesthetic level which cheapens the true value of religious passion.
'책 읽기 영화보기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어있는 마음의 과학(Mind to Matter), 도슨 처치(Church), 최경규 옮김, 2018 (3) | 2024.10.10 |
---|---|
종교와 심리, 폴 존슨, 1952 (1) | 2024.10.10 |
보왕삼매론 (4) | 2024.10.10 |
Tragic Vision(1963), Ironic Vision(1969), Charles Glicksberg (0) | 2024.10.10 |
정치,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는얻는가, 해롤드 라스웰 1936(1951), 이극찬 역 1980 (6) | 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