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gic Vision(1963), Ironic Vision(1969), Charles Glicksberg

2024. 10. 10. 20:48책 읽기 영화보기 등

728x90
반응형
 
 

정말 좋은 책 같아서

2018년 1월에 썼던 내 글을 다시 캡쳐해서 올린다, 당연히 지금의

느낌도,

훨씬 겸손하고, 현시적이며 소통지향적인 자세의 느낌을 부가해본다so

(1) 경영학도였고, 자본시장에서 근무했지만

가장 부럽고 닮고 싶은 사람은 우연히도 같은 동네분이시지만

금아 피천득 선생님 이시다

여기 글릭스버그 작가도 비슷하신거 같다

오래 사셨고

아마도 평안한 스타일로 지내셨던 것 같다

산책하고, 글쓰고 하시면서

- 늘 한쪽 마음에 남아있는 아쉬움은, 이쪽에 있으면서도 의식주 흐름에서 자유로왔으면 하는 바램ㅇ^^

(2) 술이 크게 취했을때 나왔던 몇사람의 이름들

니체, 쇼펜하워

- 키에르케고르, 샤르트르, 하이데거, 야스퍼스

- 이네들이 극복하고자 했던, 실제로 부족했었던 사람들

프로이트, 헤겔, 칸트 등

그런데 이네들 이름만 대도 현대인, 특히 젊은이들은 머리를 둘러댈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불현듯 든다^^

이건 소통하지 않겠다는

고집불통의 꼰대기질을 보이려고 하는건가라는 자경만감도 든다

그렇다면 "겸손하게" 소통하고자 하는

물론 떠들어댈거는 아니지만

제대로 공감해주고

같이 이 부조리한 세상에서 의미있게

보람차게 살아가자는 취지에서

하느님이 바라는 우리의 삶은 위축이 아닐 것이다

사랑과 힘과, 자기절제일터

자기기만으로 일상의 습속에 나를 묻지는 않겠지만

그렇지만

신앙의 변증법, 비약, 도약을 얻어 진실로 행복을 추구하고자 한다

Charles Glicksburg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Charles Irving Glicksburg (13 December 1900 – 14 February 1998)[1] was a Polish-American literary critic, professor, and writer.

Life[edit]

Glicksburg was born to Lillian and Isidore Glicksburg in Warsaw, Poland. He moved to the United States at a young age and became a naturalized citizen. He attended the College of the City of New York for a bachelor's degree which he received in 1923, Columbia University for a masters which he received in 1924, and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for a PhD which he received in 1938. He was also a Fulbright Scholar at Bar-Ilan University in Israel. His PhD dissertation became the book Walt Whitman and the Civil War which was considered an important addition to the existent scholarship on Whitman.[2] He passed away on February 14, 1988, survived by his two children, Stephanie and Paul, and grandchildren, Talia and Danielle, in New York City.[3]

Teaching[edit]

Glicksburg taught English at South Philadelphia High School for multiple years, and eventually joined Brooklyn College as a professor, becoming professor emeritus by 1971. He also taught at multiple other colleges, including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and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2]

Writing[edit]

He was a prolific author, writing multiple books including Walt Whitman and the Civil Wa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33), (which in particular was referred to as an important addition to the existing writing on Walt Whitman)[4] Literature and Religion, A Study in Conflict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Press, 1960), The Self in Modern Literatur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63), Modern Literature and the Death of God (Martinus Nijhoff, 1966), The Literature of Nihilism (Bucknell University Press, 1975), and others. He was also the editor of American Literary Criticism, 1900 to 1950 (Hendricks House, 1952)[5] and wrote multiple essays including for the Arizona Quarterly.

Awards[edit]

Glicksburg received several awards for "best essay" from the Arizona Quarterly and received various honors in his multiple professorships. He also was awarded a Fulbright Scholarship.[2]

Literary criticism[edit]

Glicksburg wrote on a variety of topics, but especially some of his later books like The Ironic Vision in Modern Literature focused on the progression from more heroic tales to more ironic tales as writing approaches the modern day.[6]

20세기 문학에 나타난 비극적 인간상, 1962, 찰즈 글리크스버그
2018. 1. 3. 10:07 수정 삭제

종로서적에서 1988년 3월에 구매

사연이 담긴 책이었는데,

어제 우연히 읽게 되었고(다시, 아마도 30여년만에)

빨려들어간것 같고,

오랜만에 느끼는 깊은 감동

1900년 폴란드에서 낳고, 1998년 뉴욕에서 사망하신 작가

가르침과 미국문학, 작가역할도 했던 저자 Charles Irving Glicksberg

삶의 전층에서

눈가리지 말고

도망가지 말고

나름 정면으로 응시하면서 치열하게 추구하자, 저항하자라는

비극적 비젼을 기술한 책이다

키에르케고로의 교화적 비극 비젼

니체의 금세기를 여는 듯한 솔직한 비젼

야스퍼스의 포용적 비젼

-------------------

중간에 잠깐 수원시향을 뒤져봤다, 아이패드로

이제는 가물하다, 1988년

당시 한국경제도 3저의 호황이었던 것 같고

멋모르던 신입사원

sweet spot 누리던 시절, 운도 좋았던 세대?

다시 만난 책, 제대로 해내보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