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9. 21. 13:05ㆍ책 읽기 영화보기 등
근래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정신 지향
공리주의
이게 예전 교과서에서 설명받듯이
요약한다고 하면서 준강제적으로 외웠던 내용들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
밀의 질적 공리주의
그런데, 잘 보면, 제대로 설명이 되지 않았던 것 같다
꼭 필요한 내용이 많이 빠진 것이다
교과서로 나중에 시험도 쳐야 하는 형식적 굴레에 빠졌기 때문일 것
돌아보면 1800년대 영국이 이렇듯 성공적으로 발전하는데
산업혁명이란 물적 토대도 있었지만
또한 제도적 토대, 의회민주주의 등
정신적인 뒷받침이 없었다면 되지 않았을 터이고
그게 결정적으로 공리주의 철학, 내지는 사조였고
이는 꽤나 상식적이고 공평한 것이었기에
사람들, 더 대다수의 사람들이 공감하고 따랐기에
이렇게 시장경제주의가 상ㄹ다히 꽃피울 수 있었을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배고픈 소크라테스는
절대로, 웬만해서 배부른 돼지로 돌아가고 싶지 않을 것이다
한번 정신적인 쾌락, 기쁨을 경험해본 사람이라면 반드시
그 기쁨을 놓치지 않을 거이고 이를 언제든지 지향할 것이기 때문이다
현대, 1900년에 프로이트의 성적인 에너지가 중심 에너지라고 하면서
특히 현대는 외모와 성적 매력으로
그 어떤 고상한 것도 무시하는 듯한 양상이 전개되고
심화되고 있으나
결국, 모든 이가,
그 모든 내용이 성적인 흐름으로만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임을 우리 모두는 안다
중간에 펀더멘털리스트들의 고루한 듯한 잔소리
그것도 제대로 역설되지 못하지만
우리 각자 잘 보면
예컨데 소녀시대니 블랙핑크니 흔드는 노래에
잠시는 빠질 수 있고
잠시는 시간내서 잠깐 느낌을 가질 수 있되
그걸로 하루종이
혹은 몇년을 앞으로 내다보면서 살수는 없다
사람은 끝내는,
뭔가 고상하고 제대로된 지향으로 나가야
그때서야 제대로 행복을 느낄 것이고
그때 느껴지는 행복이 JS Mill의 공리주의 인 것이다
이걸 제대로 설명하려면
당연히 인생 경험도 필요하겠지만
교과서 설명에서도 좀더 보완해서 설명해야 할 것 같다 싶다
'책 읽기 영화보기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르즈와 정신,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 (12) | 2024.10.02 |
---|---|
예이츠와 모드곤 1990, 권경수 옮김 (5) | 2024.10.02 |
차쿠의 아침2, 마지막이야기, 이태종, 2023 (2) | 2024.09.18 |
차쿠의 아침, 마지막이야기, 이태종, 2023 (4) | 2024.09.17 |
람세스2 3권, 카데쉬전투, 크리스티앙 자크, 1996 (0) | 2024.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