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론, 유명론(스콜라철학)
2024. 6. 1. 14:05ㆍ책 읽기 영화보기 등
728x90
반응형
연기-무자성-공
문광스님의 요약된 설법
결국, 실체는 없다 오직 작용의 과정이 일정 시간동안 있는 것일뿐
이런 논점은 어떻게 보면 중세 스콜라철학의 유명론을 연상시켰다
보편이란건 인식되지 않는다
오직 개체가 지각될 뿐이라는 것
한발 나아가서, 개체라는 실체마저도 존재의 영원성은 아니고
제행무상 제법무아라는 불교의 교설과 같은 맥락 아닌가 싶다
보편실재론과 개체유명론,
아벨라르, 스코투스 에리우게나
안젤무스 등
예전 대학 신입시절, 철학교과서에서 그냥 거쳐야되는 중세철학으로 봤던 내용이, 이번에 불교의 유식론과 더불어 새롭게 조명된다
그리고 이런 과정중심의 인식, 지각, 지식이 어쩌면 인생고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이라는 교설에도 일견 수용의 느낌이 주어진다
수 - 상 - 행 - 식,
결국 궁극적으로는 식(의식) 이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 같고
이때 성악설을 강조하는
쇼펜하워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가 지금 현대인에게 갑자기 소구되는건
아마도 그런 인식론, 유명론, 유식론 등과도 연관이 있겠지 싶다
728x90
반응형
'책 읽기 영화보기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르마 경영, 2004, 이나모리 가즈오 (2) | 2024.06.08 |
---|---|
'80년대 도서, 돋보기로 수월하게 독서 (0) | 2024.06.05 |
김형석, 김태길 윤리학 비교 (3) | 2024.05.15 |
아버지의 이름으로, 영화, 1993 (0) | 2024.05.14 |
윤리학, 김형석, 1982 (0) | 2024.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