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짐승, 에밀 졸라, 1889

2024. 3. 4. 14:42책 읽기 영화보기 등

728x90
반응형
 

째 읽으면서 아무래도 당시 정황이 궁금해서

먼저 뒤쪽의 해설부분 읽다

발자크, 플로베르, 모파상 등

세잔느 같은 화가

마지막으로 고별사를 작성했던 아나톨 프랑스

그 당시 정황이 많이 궁금햇다

그래서 1890년 작품인 "돈 agent' 당연히 찾아서 읽어보겟지만

근래, 1900년대 전후,

특히 1920년대 아마도 1차대전후 모든게 좋아보이던 상황에서

한편 뭔가ㅏ 아닌것 같은걸 느끼던 작가들의 작품을 읽고자 한다

그래서 얼추 100년 뒤의 지금에 교훈을 삼고자 하는 한편

상황(자연, 사회)하에서, 인간의 본질적인 조합/대응의 양상을

깊숙이 파보고 싶다

당분간 애매한 상황에서 충분히 시간을 낼 수 있을 것이고

자꾸만 테레비 내용은 잘 안보게 되고

그렇다고 당면 문제만 생각할수도 없을 것 같애서

적절하게, 생각의 비껴감

내지는 혜안의 단초를 찾고자 한다

금번에 아마도 오랜만에 프랑스를

ㅊ특히나 자연주의 작가

세기를 깨운, "나는 고발한다: 드레퓌스 사건"의 저자를 만나본다

사실주의 자연주의

인간의 생생한 불쾌한 냄새일지라도 수긍해야 하는건 받아들이자 싶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