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천원 인생, 한겨레출판, 2010 미시 여건은 이렇듯 다르고 실감나네

2024. 10. 10. 21:03책 읽기 영화보기 등

728x90
반응형
 
 

조국 사태 이후로는 한겨레에 대한 정도 덜어졌었는데, 죄없이^^

비교적 실감나게 씌어진 노동일기였고

물론 아직 30대 정도의 기자들이라서 과장도 있었고

미숙한 비분강개도 보였다만

그에 앞서, 60을 바라보는 나는 아직도 이렇듯 미숙하기만 한걸 반성하면서

제 멋에 취해 제 분수를 몰랐던 어린 애널리스트/펀드매니저의 아픈 돌아봄이랄까^^

=====================

(1) 미시 여건은 거시와 참 다르다 싶다

거시분석 가지고 똑독한척 했는지 모르겠는데

이미 시장에서도 "기업만 보지 지수는 안본다"는 소위 가치투자자들에게 혼났고

그런데, 같은 750조원의 국민연금 금융자산도 (이게 거의 다이지만)

부분적으로 보면 다 다를 것이고

불과 10억원 예산집행되어도 꿀발라 먹으려는 다툼이 있을진데

그동안 너무 미시여건에 무심했구나 싶다

(2) 부의 의미는 개인적이다, 그게 실감적

마트,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월급은 비정규직이면서도 100만원~140만원

하루 10시간 이상 근무하고

월 2번정도 쉰다

그네들의 소원은 월급여 200만원이고, 통장잔고 1천만원이다

창문 있으면 25만원 월세, 창문값은 한달에 3만원

휴대폰 모습이 엇비슷한게 평등의 전부; 오직 소비할때만 평등감 느낀다

한겨레 기자로 가금 사진이 실릴때도 있었고 행사에도 참여했는데, 마트에서 일하면 혹시 알아볼 사람 없을까라는 스스로의 생각

--> 기우, 어리석음의 도다른 증거. 마트 판매직원은 투명인간이다

아무도 그네들 얼굴에 주의하는 사람 없다

촛불집회대 가볼가도 싶었다. 재밋어 보였다. 근데 도통 시간이 안난다

================

정말 중요한건, 거시경제 성장률이나 분배지표가 아닌 것 같다

모두가, 중요한건 내 입장에서의 의식주 흐름인 것 같다

그때 중요한 심정은 두가지

- 내일도 의식주의 여유 있다면 감사

- 주변사람의 어제가지의 모습에서의 비교, 유지만 되면 그만이라는 것

어줍짢게 빈부격차나, 거시경제의 건강성을 논하지 않으련다 싶다

진지하고도 겸손하게 경제를 보고

우리네 살아감을 살펴보자 싶다

728x90
반응형